2019년 이슈리포트 2월호
2020-03-031. 자료 개요
2. 결과 분석
- 디지털 미디어가 주된 소통 도구로 부상
- 소셜미디어의 긍정과 부정 - 성별·교육단계·사회정서 상태별 차이
- 건강한 디지털 소통을 위한 청소년의 노력
3. 요약 및 시사점
- 온라인 소통의 중요성 증가
- 소셜미디어는 청소년에게 대체로 긍정적으로 작용
- 사회·정서 안녕 지수가 낮은 청소년들이 소셜미디어에 더 의존적
- 많은 청소년이 건전한 온라인 공간을 위해 노력
2019 인터넷윤리 이슈보고서-1호
2019-09-101. 서론 - 추진 배경 - Common Sense 재단 소개 2. 본론 - 디지털 시민역량 교육 과정 - 교사 교육 및 학교, 지역사회 인증 프로그램 운영 - 멀티미디어 기반 디지털 시민역량 교육 도구 개발 및 보급 - 부모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3. 결론 및 시사점 - Common Sense의 주요성과 - Common Sense의 주요성과에 대한 평가 - 우리의 디지털 시민역량 교육 시사점
2018 인터넷윤리 이슈보고서
2019-09-101. 청소년 사이버 폭력 대응 프로그램 1. 청소년 사이버 폭력에 대한 이해 - 사이버 불링, 사이버 공격, 사이버 괴롭힘 등 유사 용어에 대한 이해 - 사이버 폭력과 학교폭력간 차이점과 유사점 - 사이버 폭력 유형에 따른 분류 2. 청소년 사이버 폭력 대응 프로그램 - IMB 모델을 적용한 사이버 폭력 대응 프로그램 - 핀란드의 KiVa 프로그램 - 독일의 미디어 영웅 프로그램 - 오스트리아의 비엔나 사회역량프로그램 - 사이버 폭력 예방 간편 프로그램 -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통한 사이버 폭력 대응 3. 청소년 사이버 폭력 대응을 위한 제언 -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통한 사이버 폭력 대응 - 학교, 부모, 청소년 모두가 참여하는 통합적 대응 - 유형별 대상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 운영 2. 인터넷 윤리 함양 캠페인 추진 방안 1. 안전한 인터넷의 날 소개 2. 각국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소개 - 영국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- 독일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- 프랑스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- 호주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- 미국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- 벨기에의 안전한 인터넷의 날 활동 3. 인터넷 윤리 함양 캠페인을 위한 제언
2017 인터넷윤리 이슈보고서
2019-09-101. 범정부 디지털 위험 대응 추진 전략
2. 사이버 공간 설계를 통한 인터넷 윤리 함양
3. 인공지능 서비스 사례 및 윤리 이슈
4. 디지털 시민 되기로서의 인터넷 윤리 교육
5. 사이버 폭력과 오프라인 폭력 그리고 학교 사이버 폭력과 일반 사이버폭력 간 비교 분석